전체 글114 주린이의 주식 주가매출액배율(PSR)=주가/주당매출액 =매출액순이익률 XPER PEG (Price Earnings & Growth Ratio) PEG비율은 PER를 성장성 비율로 나눈 것이다. 즉 PER가 주가와 수익성을 비교하는지 표인데 반해 PEG는 주가와 수익성에 성장성을 가미한 지표이다. 이에 따라 일반적으로 저성장 종목이 PER가 낮고 고성장 종목은 PER가 높은 경향 때문에 야기되는 종목선정의 어려움을 PEG지표로 해소할 수 있다. PEG비율=PER/1+성장률 EBITDA(Earnings Before Interest, Taxes, Deprecistion and Amorization)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한 방법으로 이자와 세금감가상각비를 차감하기 전의 영업이 익이다. 상반기 62개 주요 상장사의 EBIT.. 2023. 3. 25. 주식 이야기 주가를 판단하는 척도라 할 수 있다. 이 배율이 높다는 것은 주가가 재무내용에 비해 높다는 것이고, 주가순자산 배율이 낮다는 것은 재무상태에 비하여 주가가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고 있다는 것을 말한다. PCR(주가현금흐름배율) PCR은 1주당 캐시플로를 주가로 나눈 것이다. 캐시플로는 기업의 실제 현금흐름을 나타내기 때문에 기업의 배당지불 능력과 확대적으로 투자능력을 보는 지표이다. 일반적으로 주당 캐시플로의 의미는 주당순이익이 같을 때, 주당캐시플로가 클수록 기업내용이 좋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Cash Flow=당기순이익 + 감가상각비 1주당 Cash Flow=Cash Flow/발행주식수 PCR = 1주당 Cash Flow/ 주가 PSR (주가매출액 배율) PSR은 주가를 주당 매출액으로 나누어 구하는.. 2023. 2. 27. 주식 이야기 EPS (earning per share: 주당이익) 주당이익은 주식을 평가할 때 가장 기본이 되는 자료로서 發行株式 1주당 순이익이 얼마인가를 보여주는 수치이다 EPS가 클수록, 그 기업의 주식가격이 높은 것이 보통이다. EPS는 주식가격평가에 가장 기본 되는 요소이다. 주당이익= 순이익/발행주식수 주가수익비율(PER:Price Earnings Ratio) 주가를 1주당 순이익(EPS)으로 나눔으로써 주가가 1주당 순이익의 몇 배인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여기서 사용하고 있는 이익은 세금공제 후의 당기순이익이다. 그러나 회사사정에 따라 여러 가지 방법으로 순이익을 산출하기 때문에 영업이익과 경상이익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상식적으로 생각해도 PER 이 낮다는 것은 순이익에 비해 주가가 저평가가 되었다는.. 2023. 2. 25. 주식 이야기 부채비율 자본구성의 건전성여부를 판단하는 대표적인 지표로서, 타인자본을 자기 자본으로 비율이다. 일반적으로 100% 이하를 표준비율로 보고 있으나 업종에 따라 차이가 난다 부채비율= [타인자본(부채총계)/ 자기 자본(자본총계)]×100(%) 유보율유보율=(자본총계 자본금 - 사외유출금 + 자기 주식)/ 자본금 ×100 금융비용부담률= (금융비용/매출액) ×100※금융비용 지급이자와 할인료+ 사채이자 영업용 순자본비율 증권사의 재무건전성을 재는 척도로 이 비율이 높을수록 안전하다. 비율은 영업용 순자본을 총 위험액으로 나눠 산출하며 순자본은 순재산에 비(非) 유동성자산을 빼고 후순위차입금과 증권거래준비금을 더한 금액이고, 총 위험액은 시장위험액과 기초위험액 등을 더한 금액이다. 감독당국은 증권사들이 영업용.. 2023. 2. 24. 이전 1 2 3 4 ··· 29 다음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