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린이가 읽어보고 내용 정리한 주식 이야기
프로그램 매매 동향에서는 프로그램 매수차익잔고가 중요하다.. 선물옵션 만기일에 청산될 수 있는 물량이기 때문
매도차익거래 주식매도와 선물매수를 동시에 실행하여 차익거래 하는 것 매수차익거래 주식매수와 선물매도를 동시에 실행하여 차익거래 하는 것
매출액이 꾸준히 증가하고 매출액과 시가총액과 비교할 것 매출액이 시가총액에 가까우면 추가상승 가능성 있음 매출액대비 100% 이상감..(ex삼성전자. 포스코, 현대자동차, 현대중공업등)
자본잉여금(회사의 영업이익 이외의 원천에서 발생하는 잉여금)-주식발행 시의 액면초과한 금액, 자본감소의 경우 감소액이 반환액을 초과한 금액, 회사합병의 경우 소멸된 회사의 순자산액(상법 459조), 재평가적립금, 자본적 지출에 충당한 국고보조금 및 공사부담금, 보험차익, 자기 주식처분이익, 자본보전을 위한 자산증여의 및 채무면제이익 등 자본거래에 의하여 생기는 잉여금이다. - +.- 타지지 않아도 됨 (자본거래에 의해 생긴 잉여금)
이익잉여금-손익거래에 의해서 발생한 잉여금이나 이익의 사내유보에서 발생하는 잉여금. 기업의 순자산액이 법정자본액을 초과하는 부분을 잉여금이라 하며, 그중에서 이익을 원천으로 하는 잉여금을 이익잉여금이라 한다. 이익잉여금은 기업의 영업활동에서 생긴 순이익으로, 배당이나 상여(與) 등의 형태로 사외로 유출시키지 않고 사내에 유보한 부분이다. 이에 비하여 통상의 영업활동이 아닌 특수한 거래 (자본거래)에 의해 발생된 잉여금을 자본잉여금이라 한다. 이익잉여금은 미처분 이익잉여금과 처분필 이익잉여금으로 분류된다. 비처분 이익잉여금은 세금공제 후의 당기순이익에서 임의적립금·특별충당금을 차감하고 다시 전기이월액을 가산한 금액인데, 이는 차기에 가서 처분된다.
이익처분 항목에는 이익준비금·임의적립금의 사내유보 항목과 배당금·임원상여금 등의 사외유출 항목이 있다. 사내유보 항목은 특정목적과 일반목적을 위해 미처분 이익에서 유보된 항목과 그대로 차기로 이월되는 항목, 즉 이월이익잉여금으로 구분된다. 전자는 처분필 이익잉여금 또는 적립금이라 하며, 다시 법률에 의해 설정되는 법정적립금과 기업이 임의로 설정하는 임의적립금으로 나누어진다.
원 차트상 저점에서 2일 연속 양봉이고 상승률이 2일 합하여 10% 이상이면 앞으로 추가상승기대 거래량증가와 함께하면 좋다. 35% 이상이면 조심
시가갭 매매방법 예상체결등락률 상위에서 5천 주 이상 갭상승 종목을 고른다. 이평선(저항선)을 강하게 돌파하는 종목을 매수 전일대비 거래량 상승, 현재가창에 허매수 없는 놈으로 고른다. 호재나 악재가 며칠사이에 없는념을 고른다.(호재에 의한 미리 선취매한 종목을 고른다) 충분한 매매흐름 보면서 연구하면서 내 것으로 만들어야 함..
유동자산(당좌자산(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 + 재고자산), 유동부채 (1년 이내에 써야 하는 부채) 유동자산이 유동부채보다 많아야 한다. 유동비율의 추이를 봐야 함------ - 기업의 제무상태점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