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45. 주린이가 읽어보고 내용 정리한 주식 이야기

jiminsoo12 2022. 12. 5. 13:40
728x90

상승세가 아주 강하다. 그러나 이때도 상한가가 깨지거나 탄력이 떨어지면서 거래량이 급증하는 날은 매도해야 한다... 즉 짧은 시간 내에 주가가 오르지 못하면 소강상태로 가기 쉽다...

--11.. 분할매매하라.. 매수 시 추세가 완벽해질 때 (즉 상승세가 이어질 때까지는 철저히 소액 분할매수를 하여 몸을 가볍게 하는 징검다리 확인이 필요하다.. 그러다 주가가 탄력이 붙기 시작하면 즉 거래량이 수반되면 추가 매수해 나간다..

--12.. 천장을 치고 다시 오르더라도 매수하지 마라.. 주가가 높아져 있는 상태에서 (단기 급등하거나 상승세가 계속되어) 거래량이 폭증하면 반드시 하락한다.. 차익매물이 쏟아지는 것이다.. 그러다 다시 약하게라도 반등하면 이것은 소폭 상승에 그치고 재차 하락하는 경향이 많다.. 이렇게 됨녀 이것은 하락 추세 선상에 놓이는 것이다.. 따라서 다시 매수해서는 안된다..

--13.. 바닥권이 길수록 매수할 준비를 하라... 바닥권이란 거래량이 극도로 감소한 상태를 가리킨다.. 거기다 일일 가격 변동폭도 줄어든다.. 이런 상태는 짧게는 1개월 길게는 3개월 이상 지속된다...

--14.. 1000원에 매수량이 1000 주 900원에 매도량이 100주의 호가단위별 매수가 매도보다 갑자기 크게 나올 때에는 경계해야 한다..

--15.. 호가별 매수량은 적은데 총 매수잔량이 매우 많을 때에는 허매수 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매수를 피한다..

--16.. 호가별로 즉 1000원에 사자가 1000주, 1100원에 팔자가 5000 주라면 주가는 하락하기 쉽다...

--17.. 기관의 대량 매수, 매도 종목은 피해라.. 이것은 단타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수익률을 극히 낮게 잡아야 안전하다.. 그러나 외국인이 매집하여 상승하기 시작한 종목은 좀 더 상승세가 오래간다.. 하루 정도는 따라붙는다. 그러나 외국인의 매도량이 전일보다 크면 즉시 빠져나와야 한다..

--18.. 고점을 찍고 거래량이 줄기 시작하면 하락세로 돌아서므로 당분간 매수하지 말고 쉬어야 한다..

--19.. 고점이란 확인하기 어려우므로 최고가에 팔기는 어렵다.. 상한가가 깨지면서 거래량이 터지면 즉각 빠져나와야 한다..

--20.. 단기간에 급등한 종목이 어느 날 거래량이 급증하면 무조건 팔아야 한다..

--21.. 바닥권에서 거래량이 늘면서 상한가를 내고 나서 곧바로 눌림목이 나오면 시장에 악재가 없는 한 매수한다...

--22.․악재가 겹쳐도 지수 하락이 거의 멈추면 매수하라.. 폭락 후에는 거래량이 당연히 줄지만 악재가 추가로 터져도 더 이상의 지수 하락이 없으면 적극적으로 매수한다.. 이때는 대부분 공포감에 휩싸여 살 엄두를 못 내고 있을 때이다.. 그러나 이때 사들인 사람만이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