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20 초보자가 읽어보고 내용 정리한 주식 이야기
때는 자신의 계좌에 오르는 주식을 보유하고 있으면 된다. 주식의 가치를 따질 필요가 없는 것이다.'수급에 앞서는 재료는 없다'는 점을 명심하기 바란다.
주식투
주가는 기업의 내재가치, 실적 등의 요인으로 결정되는 것은 아니다. 주식의 가격이 회사의 가치나 실적만으로 움직인다면 그에 관한 많은 정보만 가지고 있으면 주식투자에서 돈을 벌 수가 있을 것이다. 하지만 주식투자는 예측할 수 없는 도박의 속성을 가지고 있다. 아무리 기업 실적이 좋더라도 그 주식을 파는 사람이 많으면 주기는 멀어지고 아무리 어느 회사가 부도가 나고 실적이 나쁘더라도 그 주식을 사는 사람이 많으면 주가는 올라간다. 즉, 수요와 공급에 따라 주가는 움직인다는 사실이다. 단지 기업의 가치니 실적, 재무구조 등 눈에 보이는 요소로만 주가가 결정된다면 훌륭한 기업분석가의 정보만 있으면 쉽게 주식투자에 성공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런 재료는 단지 주가를 결정하는 참고자료일 뿐 주가를 결정하는 직접적인 요인은 바로 매수세와 매도세에 따른 힘의 우열일 뿐이다. 주식투자를 처음 하는 사람들이 가장 빠지기 쉬운 함정이 바로 이것이다. 즉, 주가가 수요공급의 원칙에 따라 움직인다는 것을, 단순하지만 가장 중요한 사실을 쉽게 간과한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그 회사의 실적, 재료, 현재의 주가 수준 등에 너무 집착한다는 데 있다. 물론 주가는 그 회사의 실적, 재료에 많은 영향을 받지만 결코 그것이 주가를 결정하는 직접적인 요인은 아니다. 어느 종목의 내재가치나 성장성을 가지고 그 주가를 예측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어느 회사의 내재가치를 평가해 그 가치 이하로 주가가 하락한 경우 매수하는 전략을 내재가치에 따른 투자라고 한수 있지만 이 같은 투자기법은 결국 기관투자자와 같이 신속하고 많은 자료와 정보에 접근하기 쉬운 장기투자자에게 나유 용한 기법이다. 기관투자가와 같이 신속하고 많은 정보를 접하기 어려운 일반투자자의 입장에서는 가치투자는 바람직한 투자 방법이 아니다. 일반인에게 바람직한 투자 방법은 수급자다. 어느 회사의 주식 매수세가 매도세를 압도하는 장세에 매수하는 전략이 수급 투자다. 가치투자에 의한 투자는 분석하는 개인별로 서로 다른 천자 만별의 결과가 나올 수 있지만 수급에 의한 투자는 연구 분석할수록 동일한 결과가 나올 확률이 높고 투자수익률이
점점 향상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강좌에서는 앞으로 가치투자(어느 종목이 저평가되었으니 매수가 유효하다는 식)에 관한 투자전략보다 수금 투자에 대한 투자전략 올(세력의 신호, 잔량의 분석, 세력의 작전 등과 같은 실전 투자에 관련된 전술) 집중적으로 다루어 독자들의 실전 투자 능력을 향상하는 데 주안점을 둘 것이다. 이번 강좌에서는 도대체 어느 시기에 주식에 투자하는 것이 유효한지에 대한 확실한 투자지침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 보자.
언제 주식을 사야 하는가
주식은 주가가 떨어진다고 해서 떨어진 만큼 없어지는 것이 아니다. 즉, 종합주가지수가 1000P인 때 도주 식은 누군가의 소유로 계좌에 존재하고 있고, 500P로 떨어져도 주인만 바뀌었을 뿐 누군가의 계좌에 존재하는 것이다. 결국 주가가 계속 올라갈 때 그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사람은 돈을 벌 것이고 주가가 떨어질 때 그 주식을 보유한 사람은 주식투자로 큰 손해를 보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주식투자의 한 가지 확고한 원칙은 정해졌다. 하락장세에서는 주식을 매도한 상태에서 다른 주식은 매수하지 않고 현금을 보유하고 있으면 돈을 벌 것이고 상승 장세에서는 오르는 주식을 자신의 계좌에 보유하고 있으면 되는 것이다. 러므로 지금이 과연 주식을 살 만한 시기인지 아닌지 정확하게 판단할 수만 있다면 주식투자에서 쉽게 성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번 강좌에서는 이 투자 시기를 결정하는 한 가지 방법으로 상한가 종목의 분석에 대해 다룰 것이다. 상한가 종목의 분석은 다음의 세 가지 커다란 효용이 있다. 첫째, 상한가 종목의 분석으로 주식투자 시기를 판단할 수 있다. 둘째, 상한가 종목의 분석은 하락장세에서도 수익을 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셋째, 상한가 종목의 분석은 주식투자의 최종 목표인 급등주의 매수를 가능하게 한다.
그러면 상한가 주식의 분식을 통해 주식을 매수할 시기를 결정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우선 당일 가장 매수세를 밀집시킨 종목은 무엇인가? 그것은 간단하게 당일의 상한가 추진의 분석으로 알 수 있다. 매수세가 매도세를 압도하여 당일 더 이상오를 수 없는 주가까지 상승한 것이 바로 상한가이다(상장 종목은 15%, 코스닥 종목은 12%), 이상한가 주식에 대한 분석이 실전 투자에서 고수익을 올린 수 있는 가장 쉽고도 확실한 방법이다. 상한가 종목을 분석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도구는 홈트레이딩 시스템이다. 주식시장이 끝나고 홈트레이딩에 접속하여 그날의 상한가 종목을 분석하는 데는 결코 많은 시간이 소요되지 않는다. 상한가 주식을 분석하는 기본 원칙은 다음과 같다. 1. 모든 상한가 종목을 분석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삼한자 주식 중에서도 종가에 매도 산량이 남아있거나 거래량이 1만 주 이하이거나 상한가 매수잔량이 거래량의 3분의 1에도 미치지 않는 종목은
제외시켜야 한다.
2. 내일도 상한가를 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종목, 즉 힘이 센 상한가 종목을 압축한다. 이 분식은 급등주를 잡을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힘이 센 종목을 판별하는 기준은 다음과 같다.- 상한가에 일찍 진입한 중복일수록 좋다.- 상한가에 진입한 후 매도 물량이 적게 나왔어야 한다.- 상한가에 진입한 후 상한가에 거래된 물량이 많다면 힘이 약한 상한가이다.- 상한가에 진입했다가 상한가가 깨지는 것이 반복된 종목은 힘이 약한 상한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