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CH.24 주린이가 읽어보고 내용 정리한 주식 이야기

jiminsoo12 2022. 11. 14. 13:21
728x90

첫 상한가

에 진입한 후 대량의 상한가 매수 진량(거래량의 10분의 1 이상)을 즉시 쌓지 못할 경 우치익 매물이 나오면서 상환기가 읽던 깨지는 것이 원칙이다. 이때 매도잔량이 급속히 증가하지 않고 주가가 더 이상 빠지지 않으면 제자 심한가에 진입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후 첫 번째 쌓았던 상한가 매수잔량 이상의 진행을 씻으면 책장에 집권하면 매수잔량이 지저히 증가하며 상한가를 굳히는 것이 일반적인 주가 흐름이다. 시장 상황과 종목별 특성에 따라 심한가 진입 시의 잔량 흐름은 천차만별이다. 따라서 꾸준히 상한가 진입 주시의 전량 변화 패턴을 실시간으로 보면서 분석 정리해가며 매매하는 것이 상한가 종목의 간 량 흐름에 익숙해질 수 있는 방법이다.

<델타 익스체인지 대표 권정태 >

힘이 센 상한가 종목 2개 집중 공략하라

상한가 주식의 매매전략 ④… 상한가 재진입 주식의 내기 매수세 분석이 관건

상한가 주식의 매매전략의 양대 축은 매도세 분석(본 지 575호 기사 참조)과 매수세 분석이다. 주가는 매도세와 매수세의 힘 겨루기 게임이기 때문이다. 이번 호에는 매수세 분석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첫 번째 매수세는 동시호가에 상한가 매수주문을 내는, 즉 확신을 가진 매수세다. 이 매수세가 매도세에 비해 압도적으로 강하면 상한가는 깨지지 않고 종가까지 상한가를 유지한다. 그리고 시가부터 종가까지 상한가를 유지하는 주식은 결국 이 첫 번째 매수세만이 불량을 확보하게 된다. 두 번째 매수세는 상한가가 깨진 주식의 매도세와 매수세의 힘의 우열을 확인하고 재상 한가에 진입하는 주식에 매수주문을

내는 대기 매수세이다.

많은 급눙주 투자자들이 급등주를 너무 일찍 매도하는 우(愚)를 범하는데 이는 매수세를 과소평가 해등 시호가에 매수주문을 내는 매수세만을 매수세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실제 상한가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매수세는 이 두 번째 매수세이다.

상한가가 깨지면서 출회되는 매도 물량이 어느 일정 수준의 물량을 넘지만 않는다면 이 두 번째 매수세에 의하여 충분히 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시가에 상한가를 기록한 주식을 매매하는 투자자는 상한가가 깨어진 후 상황을 보고 매수 기회를 노리는 이 두 번째 대기 매수세가 언제나 탄탄히 준비하고 있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두 번째 매수세의 힘은 첫째, 상한가가 깨어진 후 얼마나 빨리 상한가에 재진입하는지 둘째, 상한가가 깨어진 후상 한가 대비 몇 % 나 하락하는지 셋째, 상한가가 깨어진 후 얼마나 매도 물량이 출회되는지 여부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상한가가 깨어졌다가 상한가에 재진입하는 상한가 재진입 주식의 매매기법을 실례를 통해 알아보자.

첫째, 장이 시작되자마자 상한가 화면에서 종목을 조회한다.

둘째, 가장 힘이 센 상한가 주식이 무엇인지 파악한다. 상한가 주식이 시가부터 50여 개가 넘는 강세장에 서는 미리 엄신된 종목을 대상으로 집중력 있게 주가 흐름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5개 종목을 넘게 분석하면 집중력이 떨어지므로 가장 힘이 센 상한가 종목으로 승부를 걸려면 한두 종목의 잔량 변화를 계속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시가에 힘이 센 상한가 주식 중에 거래량이 증가하면서 상한가 매수잔량이 줄어드는 주식에 주목한다.

거래량은 증가하지만 상한가 매수잔량이 더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종목은 상한가가 깨질 가능성이석으므로 오히려 제외시켜야 한다.

넷째, 시가에 힘이 강한 종목이 매도세에 밀려 상한가 매수잔량이 급속히 줄어들면 매수주문을 준비해야 한다. 수량은 모두 체결되는 것이 원칙이므로 자신이 매수 가능한 적정 수량을 결정한 후가 격은 시장가 매수를 원칙으로 한다(단, 코스닥은 상한가 주문), 모든 주문 내용을 기록하고 '확인' 키만 누르면 매수주문이 나갈 수 있게 준비하고 주가의 변화를 분석해야 한다. 다섯째, 상한가가 깨어지는 것은 체결가에서 가장 먼저 알 수 있다. 체결가에서 상한가가 깨어지는

경우도 있고 매도호가에서 나타나기도 한다. 체결가를 통해 먼저 상한가가 깨어지는 것을 감지할 수 있지만 호가잔량 화면은 변화 속도가 느리므로 상한가 매수잔량이 남아 있는 경우도 있다. 따라 시 화면을 볼 때는 시세가 가장 빨리 나타나는 체결가와 거래량·매수호가 매도호가 화면을 봐야 한다. 여섯째, 매수주문을 전송한 후에는 상황 변화에 따라 즉시 주문 취소가 가능하도록 주문 취소를 준비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상한가 매수주문을 위해서는 상한가가 깨어졌을 때 취할 확실한 행동 기준을 장 시작 전에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는 어느 종목이 상한가가 깨어지고 매도잔량이 어느 정도까지 늘지 않으면 내수 준비를 하는 것을 말한다

작성자.. 권성태 님

장이 혼란스러운 때는 투자기법에 대한 기본적인 연구를 하자. 평소에 공부를 열심히 하는 학생이 시험도 잘 보는 게 세상 이치 아닌가. 이번 주제는 허수 잔량에 속지 않는 방법이다. 단기 주식투자자에게 상한가 주식은 1자 적인 매수 대상이다. 상한가를 기록했다는 것은 매수세가 매도세를 압도하여 더 이상 판자는 세력이 없는 상태의 주식. 따라서 상한가 주식 매수하면 다음날 해당 주식이 상승할 확률이 아무래도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