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주식 이야기
jiminsoo12
2023. 2. 19. 21:36
728x90
예를 들어 회계처리기준상 감가상각방법을 정액법에서
정률법에서 변경한다
든 지, 정률법에서 정액법으로
변경할 경우 공시한다.
변경의 사유와 일자도 포함된다.
이 같은 회계처리기준 변경은
손익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유용한 정보가 아닐 수 없다.
자본금 기준으로 10% 이상
출자한 비상장법인인
관계회사의 부도발생,
법정관리
신청여부, 영업양수도, 파산신청, 채무보증여부에도 주목해야 한다.
출자한 지분이나 보증금액등의
규모를 살펴야 한다.
또 상장사가
자본금의 10% 이상에 상당하는 금액이상을 담보로 제공하거나
혹은 채무를 보증할 때 공시한다.
보증총잔액을 눈여겨봐야 한다.
차입금도 빼놓을 수 없는 대목이다.
자기 자본의 50% 이상에
상당하는 금액을 차입하는
계약체결이 있을 때
공시된다.
차관, 외화장기차입금 및
장단기 차입금이 주내용이 된다.
은행등 금융기관의 경우엔 부실 여신발생여부도 공시하게 돼 있어 체크해야 한다.
대출해 줬다가 떼이게 될 가능성이
있는 부실여신금액이
수지에 미치는
영향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