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13. 블랙숄즈 모형 (black-scholes model)
블랙과 숄즈가 개발하여 1973년 시카고 대학 연구논문집에서 발표한 변동성, 옵션의 권리행사 가격, 만기까지의 기간, 무위험자산의 금리 등, 입수하기 쉬운 다섯 가지 종류의 데이터로부터 옵션 이론을 도출했다. 그때까지만 해도 체계적인 옵션 이론이 없었기 때문에 이 모형은 금융계에서 화제를 불러일으켜 거래의 확대에 크게 기여했다. 이는 현재도 옵션의 대표적인 평가식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 모형은 특정 기일에만 권리행사를 할 수 있는 유럽식 옵션을 대상으로 하고 있고 주식의 배당을 고려하지 않는 등 현실의 거래와는 정합성이 맞지 않는 면도 있다. 또 금리 옵션에서는 이모형과 실제 가격과의 갭이 크다. 이 때문에 보다 현실에 적합한 옵션 이론을 모색하려는 움직 임도 활발하다. '블랙숄즈 모형의 금리 옵션판'이라고 일컬이지는 것으로 존할 도몬도 대학 교수들이 개발한 활-화이트 모형이 있다. 이 외에 통화 옵션 평가모델로서는 가멘, 콜하겐 모형 등이 있다.
14. 다우이론 (DOW thery)
오늘날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기술적 분식에서 나우 이론은 19세기 초에 형성되기 시작하여 찰스 나우가 완성한 것으로 주식시장에서 추세를 강조하고 있으며, 1929년 대공황으로 미국 증권시장의 붕괴를 예언한 것으로 유명하다. 다우 이론은 개별종목 예측에 사용되고 있지만 원래 증권시장 전체의 추세를 예측하는 데 사용하기 위해서 고안된 것이다. 주식시장은 세 가지 움직임, 즉 주 추세 또는 1자 추세, 중기 추세, 또는 2차 추세, 일일 변동 또는 소 추세가 동시에 작용하고 있다.
주추 세는 1년 이상 수년간 계속되는 주가의 장기적인 상승 또는 하락 운동을 일컫는 것으로 주가의 장기추세이다. 일반적으로 주 추세선이 상승세에 있을 때는 강세장이라고 하고, 하락세에 있을 때는 약세장이라고 한다. 추 추세선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하는 사람에게 유용한 지표가 된다.
중기 추세선은 주 추세선의 진행되는 과정에서 장기추세를 조정하려는 주가의 반동 작용에 의해서 통상 3주에서 수개월간 지속된다. 강세장에서는 주가가 중기 조정이나 하락할 때에는 중기 추세선이 형성되기 시작하며 약세장에서는 주가가 중기 회복을 하면서 나타난다. 보통 중기 추세는 주 추세의 진행장 향에서 1/3 내지 2/3 정도의 반작용을 나타낸다.
소추 세는 매일매일의 단기적인 주가 변동을 의미하는 것으로 소추 세는 조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중요시되지 않는다. 다우이론은 어떤 주 추세에서 다른 주 추세로 전환하게 되는 시기를 포착하고 이러한 전환이 이루어짐을 알리는 신호를 알고자 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주 추세의 전환을 알려 주는 것으로서 다우이론에서 가장 중요시하는 신호는 붙임점 (abortive point)이라고 한다. 주 추세선이 상승추세에서 하락 추세로 전환하는 경우에 나타나는 붙임점은 중기 추세의 최고점이 그 이전의 최고점보다 낮을 때 나타난다.
다우이론은 주추 세와 중기 추세가 명확하게 구분하기 어렵고 추세반전을 확인할 수 있더라도 너무 뒤늦게 확인되기 때문에 도움이 되지 않으며 증권 위험에 대하여 아무런 정보를 제공할 수 없다는 한계성을 주장하고 있다.
15. 필터 기법(filter rule)
다우 이론에 따르면 주가가 일단 상승 또는 하락 국면에 접어들게 되면 한동안 그 추세를 유지한 다고 한다. 이것을 바탕으로 주가가 최근의 저가에서 일정 비율만큼 상승하였을 때를 상승국면에 진입한 것으로 보아 매입하고, 반대로 최근의 고가에서 일정 비율만큼 하락했을 때 하락국면으로 보아 배 도하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단순한 배입 보유 전략보다도 높은 투자수익을 올릴 수 있다고 보는 투자전략을 필터 기법이라고 한다.
일정 비율의 수치로서 어느 정도가 적당한가에 대해서는 여러 의경이 있으나 대체로 5~10%가 적당 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그러나 최근 효율적 시장가설이 제기되면서 많은 학자들에 의해 각종 필터 기법의 검증이 이루어져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 필터 기법의 유효성은 부정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필터 기법은 주가 변동에 순응함으로써 이익을 얻고자 하는 투자전략이기 때문에 성동적 인투 자기 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과 반대 개념으로 달리 평균 법이나 포뮬러 플랜 같은 것이 있는데 것들은 주가가 하락하면 매입하고 상승하면 매도한다는 투자전략이다.
16. 엘리엇 파동이론 (Eliotl way principle)
카테고리 없음
CH9. 초보자가 읽어보고 내용 정리한 주식 이야기
728x90
댓글